사자성어 2

금계필담이란??

▷ 금계필담이란? 조선 단종 때부터 순조에 이르기까지 141편의 설화가 수록된 조선 고종 10년(1873) 서유영이 저술한 설화집으로 야담이 많으나 필기나 잡록에 가까운 잡품들도 실려 있다. 서유영이 일생동안 보고 들은 이야기들을 말년에 기록한 것으로 평민과 다를 바 없는 생활터전에서 살기도 했기에 평민 일화나 전설, 일부 야담과 사대부 일화를 옮기고 제왕과 왕비, 문신, 이인, 양반층 여인, 기생, 하층여인, 무인 등의 순으로 이들에 얽힌 이야기를 배열하고 풍속에 관한 잡다한 이야기들을 함께 묶어서 끝에 첨부하였다. 금계필담의 내용은 사극이나 드라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식 2023.03.09

읍참마속이란?(읍참마속 뜻과 유래)

읍참마속 뜻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사자성어 그대로 해석을 하면 울 읍(泣), 벨 참(斬), 말 마(馬), 일어날 속(謖)으로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입니다. 이를 풀이하게 되면 '대의를 위해서라면 측근이라도 가차 없이 제거하는 권력의 공정성과 과단성을 일컫는 것'이 됩니다. 읍참마속 유래 삼국시대에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위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위나라 군과 격돌하는 과정에서 제갈량은 위나라 방어진을 깨뜨릴 임무와 그 임무를 맡을 인물을 고심하게 됩니다. 한참 고심하던 중에 스스로 그 임무를 맡겠다고 나선자가 제갈량의 절친이자, 조정 중신의 아우이며, 머리가 비상하고 군략에 일가견을 갖고 있는 촉망받는 인물인 마속이었습니다. 마속은 제갈량에게 "제가 병법서라면 읽지 않은 책이 없음은 승상께서도 아실 겁니다..

지식 2022.12.03